네트워크

OSI 7 Layer

이잽 2022. 3. 24. 21:51

OSI 7 Layer는 1980년대 컴퓨터 및 통신 회사에서 채택한 네트워크 통신의 첫 번째 표준 모델이며 네트워크를 통신하는데 사용하는 7개의 레이어들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현재 인터넷 통신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OSI 7 Layer는 총 7개의 층으로 physical(물리) / data link(링크) / network(네트워크) / transport(전송) / session(세션) / presentation(표현) / application(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나뉘어져 있고 각 계층은 다음과 같은 일을 합니다. 

 

Phyical Layer는 네트워크 노드 간의 물리적 케이블 또는 무선 연결을 담당합니다. 장치를 연결하는 커넥터, 케이블 또는 무선 기술을 정의하고 비트 전송률 제어를 처리하며 단순한 0과 1의 연속인 비트 단위 전송을 담당합니다.

 

Data link Layer는 네트워크에서 물리적으로 연결된 두 노드 간의 연결을 설정하고 종료합니다. 물리 계층이 비트 단위 였다면 링크 계층은 패킷 단위로 처리 합니다. 

 

Network Layer는 위의 트렌스포트레이어에서 내려온 데이터를 세그먼트라고하는데 이것을 패킷 단위로 분할하고 수신측에서는 재조립 하는 기능과 ip를 통해 물리적 네트워크에서 최상의 경로를 찾아 패킷을 라우팅 합니다. 

 

Transport Layer는 세션 레이어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세그먼트로 나누고 수신 측에서는 세그먼트를 재조립하여 위 레이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로 되돌리는 역할, 데이터가 제대로 도착했는지 오류 확인, 해당 데이터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인지 판단하여 알맞은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포트번호 사용)

 

Session Layer는 호스트 간의 세션이라고 부르는 통신 채널을 생성합니다. 세션을 열고 데이터가 전송되는 동안 열려 있고 통신이 종료되면 닫는 역할을 합니다.

 

Presentation Layer는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 내려온데이터를 인코딩을하거나  암호화 및 압축하여 올바르게 수송신되도록 정의하는 역할을 합니다. 

 

Application Layer는 사용자의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되는 레이어입니다. 소프트웨어가 데이터를 보내고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게 하는 프로토콜을 제공합니다. 웹 통신의 경우 HTTP, 파일 전송일땐 FTP, 메일은 SMTP 등이 쓰입니다.

 

이 OSI 7 Layer를 통해서 현실에서는 이런식으로 데이터 수송신이 됩니다(사실 OSI 7 Layer는 학문적인 의미가 더 크고 TCP/IP 4 protocol stack 이라는 것이 더 현실에 가까움). 이렇게 각 레이어들을 통해서 데이터가 전달되어서 사용자가 느끼기에는 application대 application로 연결이 되어있다고 느끼고 사용합니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uting protocol의 분류  (0) 2022.04.13
Routing table  (0) 2022.04.13
Router란?  (0) 2022.04.13
TCP  (0) 2022.03.24
내부아이피와 외부아이피  (0) 2021.01.05